"AI 적용은 아이 키우는 것과 같아…처음부터 99%는 없다" [KIW 2024]

"AI 적용은 아이 키우는 것과 같아…처음부터 99%는 없다" [KIW 2024]

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인베스트먼트위크(KIW)에서 연사들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안현실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 김영한 가우스랩스 대표, 김현수 슈퍼브AI 대표, 윤병동 원프레딕트 대표. /사진=한국경제 강은구기자

“오픈소스 거대언어모델(LLM)과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모델의 기술격차가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김현수 슈퍼브AI 대표는 9일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4’의 ‘AI가 가져올 산업 변화’ 세션에서 “두 모델의 성능 차이는 이제 고작 6개월 정도”라며 “오픈소스를 잘 활용하고, 실패를 두려워 않는 기업이 산업 AI 시대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2018년 설립된 스타트업 슈퍼브AI를 이끌고 있다. 기업들이 고유의 AI 솔루션을 만들어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펼친다. LG전자 현대차 SK텔레콤, 일본 도요타, 미국 퀄컴 등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다.

"오픈소스 AI 쓰며 데이터 투자하라"

그는 산업계 AI 도입의 고질적 문제였던 양질 데이터와 AI 전문가 부족 현상을 AI가 직접 나서 해결 중이라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제조 현장에서 불량품을 인식하는 AI를 만든다고 하면, 기존엔 상황 자체가 잘 발생하지 않으니 정확도도 떨어졌다”며 “하지만 최근 생성 AI를 활용한 합성 데이터의 등장으로 AI 학습 상황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한 조선사가 최근 이 같은 기술을 활용해 선박 작업자의 사고를 잡아내는 안전관리 AI를 제작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AI 전문가 부족도 “빅테크에 몰려있는 기술자를 직접 데려오는 것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다”며 “오픈소스를 활용해 알고리즘을 만들면 충분하고, 나머지 자금은 데이터 확보에 투자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제조 기업들이 과거에 지녔던 AI에 대한 인식을 버려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김 대표는 “사실 안전관리 AI 같은 형태는 10년 전에도 존재했고, 당시 큰돈을 들여 AI 도입을 시도해본 기업들도 많았다”며 “이때의 실패만 기억해 ‘해도 안 된다’는 식의 분위기가 있는데, AI 기술 발전상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했다.

현재까지 AI의 완성도가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일단 도입해 써보는 것은 추후 큰 격차를 만들어낸다고 했다. 그는 “AI는 아이를 키우는 것과 같아서, 처음부터 정확도 99%를 노리고 실전에 투입하면 효율이 나지 않는다”며 “정확도가 95% 정도에 불과하더라도, 특이한 경험을 제공해가며 꾸준히 성능을 개선하겠다는 결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략)